* 모든 AWS 를 사용하기 위해선 AWS 계정을 필요로 합니다.
* 이 포스팅은 https://developing-soosoo.tistory.com/47 과 연결된 포스팅입니다.
1. 우선, S3란 무엇인가요?
simple storage service로 AWS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스토리지 서비스 입니다.
S3에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선 객체, 버킷 이라는 단어를 알 필요가 있습니다.
HTTPS 프로토콜을 사용해 SSL로 암호화된 엔드포인트를 통해 데이터를 안전하게 업로드/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 객체 (object)
S3에 데이터가 저장되는 기본 단위로, 파일과 메타데이터로 이루어집니다.
객체 하나의 크기는 1Byte부터 5TB까지 허용되며, 메타데이터는 MIME 형식으로 파일 확장자를 통해 자동으로 설정되며 사용자 임의로도 지정 가능합니다.
- 버킷 (bucket)
S3에서 생성할 수 있는 최상위 디렉토리의 개념으로, S3 region중에서 유일해야 합니다.
계정별로 100개까지 생성할 수 있고, 버킷에 저장할 수 있는 객체수와 용량을 무제한입니다.
따라서 스토리지의 요구를 미리 추정해 관리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확장과 축소에 신경쓰지 않아도 됩니다.
버킷 생성하기
1. S3에 접속
Amazon AWS에 로그인후 서비스->스토리지->S3에 접속합니다
2. 버킷 만들기 선택
3. 버킷 이름, AWS 리전 입력
4. 퍼블릭 액세스 설정
본인의 상황에 맞게 퍼블릭 액세스를 설정해줍니다.
5. 버킷 만들기 완료
버킷 버전 관리, 기본 암호화 비활성화 상태로 버킷 만들기 클릭 (초기상태랑 같기 때문에 수정할 필요 없습니다)
짜잔! 버킷이 만들어졌습니다 !
간단하죠?
파일 추가를 통해 이미지 파일이나 비디오 파일을 업로드 하면 됩니다 !!!
단순히 데스크탑에 있는 이미지 파일이나, url을 통해 분석할 수 있지만, Amazon Rekognition엔 S3에 저장된 이미지, 비디오 파일을 신속하게 분석할 수 있는 API가 존재하기 때문에, S3를 사용하는게 꽤 유용합니다.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3-0. AWS Amazon Rekognition Video 구성 (SNS, SQS) (0) | 2021.12.29 |
---|---|
2. AWS Amazon Rekognition 입문 가이드 (이미지 작업하기) (5) | 2021.12.29 |
1-2. AWS boto3 resource 와 client의 차이 (0) | 2021.12.23 |
1-1. AWS S3 사용하기 (boto3 이용) (0) | 2021.12.23 |
0. AWS 시작하기 (AWS CLI , AWS SDK setting) (0) | 2021.12.23 |